글번호
871429

임우남, 「論朝鮮詩人金麟厚漢詩中陶淵明意象」, 『중국인문과학』85, 중국인문학회, 2023.12.

작성일
2024.03.04
수정일
2024.03.04
작성자
최옥정
조회수
18

임우남, 「論朝鮮詩人金麟厚漢詩中陶淵明意象」, 『중국인문과학』85, 중국인문학회, 2023.12.



국문 초록 


고려시대와 조선의 역대 문인들의 문집을 살펴보면 도연명의 시에 차운한 화도시(和陶詩)를 손쉽게 찾을 수 있다. 16세기 조선 문인 김인후는 이러한 화도시를 창작하지는 않았지만 도연명의 시를 읽고 여기에 동화되어 도연명 문학 작품의 시어나 이미지를 차용하여 시를 창작하기도 하였다. 먼저 김인후는 도연명의 문학 작품 중 ‘귀거래(歸去來)’의 이미지를 시에서 사용하여 자연과 합일된 삶을 살면서 그 안에서 자유와 만족을 얻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다음으로 김인후는 도연명 문학의 ‘역사전고(歷史典故)’ 이미지를 시에서 인용하여 역사 사건이나 인물에 대하여 정확한 의견을 표명하고, 그에 따라 감개무량한 마음을 표현하기도 하요 때로는 격분한 감정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김인후는 도연명 문학 작품 중의 ‘주(酒)’ 이미지를 빌어 현실에서 느끼는 좌절과 울분을 술을 마심으로써 달래는 내용으로 시를 창작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김인후가 지은 누정시(樓亭詩)는 도연명의 시적 이미지와 시어를 인용함으로써 그 범주를 확장해 나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여기에다 김인후의 독특한 미적 정취와 삶에 대한 자신의 독특한 체험을 더하여 형상화하고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달관적 자세와 깨달음을 평이한 어조로 의경을 토로하고 있다는 점은 도연명의 작품과 흡사하지만, 인생에 대한 태도나 술에 대한 견해가 도연명과는 달리 깊은 사상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는 점은 차이가 나는 점이다.



영문 초록 


If you look at the writings of writers of the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you can easily find a cool Hwadoshi in the poem of Do Yeon-myeong. Kim In-hoo, a 16th-century Joseon writer, did not create such a Hwadoshi, but read Doyeon Myung's poems and assimilated them to create poems by borrowing poetry or images from Doyeon Myung's literary works. First, Kim In-hoo expressed his desire to gain freedom and satisfaction while living a life united with nature using the image of "Gwitaek" among Do Yeon-myeong's literary works in poetry. Next, Kim In-hoo cited the image of the "historical biography" of Doyeon Myung literature in the poem to express an accurate opinion on historical events or characters, and expressed his deep feelings accordingly, sometimes expressing anger. Finally, Kim In-hoo also created a poem using the image of "Ju" among the literary works of Doyeon Myung to soothe frustration and anger felt in reality by drinking alcohol. In this way, Nujeongsi, written by Kim In-hoo, can be seen as expanding its category by citing Do Yeon-myeong's poetic image and poetry, and it is considered that Kim In-hoo's unique aesthetic atmosphere and his own unique experience of life are added to it. It is similar to Do Yeon-myeong's work in that he expresses his perspective and enlightenment in a plain tone,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his attitude toward life and his view of alcohol have reached a deep level of thought unlike Do Yeon-myeong.



키워드 


김인후, 도연명, 귀거래(歸去來), 역사전고(歷史典故), 주(酒)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