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872829

백지민, 「조선시대 공론의 문학적 형상화-<원생몽유록>을 중심으로」, 『전남대 어문논총』4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59-86, 2024. 02.

작성일
2024.03.15
수정일
2024.03.15
작성자
최옥정
조회수
31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공론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과정을 <원생몽유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원생몽유록>은 단종과 사육신의 복권에 대해 우의적으로 표현한 몽유록 작품이다. 조선시대 공론은 정치 과정에서 군주의 자의성을 견제하는 중요한 도구로서, 유교적 정치 체제 아래에서 중대한 역할을 하였다. 공론은 조선의 정치적 근간을 이루는 핵심 개념으로, 왕권, 재상권, 언관권의 삼각구도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는 왕권을 제약하는 신권의 상징성과 내부 상호 견제 및 경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했습니다. 공론을 통해 다양한 정치적 견해가 제시되고, 치열한 경연을 통해 정책이 구현되었다. <원생몽유록>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울분을 넘어 공론화를 위한 실천적 행위로서, 의견 피력의 권리를 행사한 작품이었다. 조선시대 공론의 작동 원리를 통해 문학이 새로운 담론 권력으로 자리 잡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공론 정치의 작동 원리에 따르면, 최고 권력자인 왕의 의사가 공론 형성과 수용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왕의 의사에 반하는 공론화되지 못한 문제들을 공론화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했다. <원생몽유록>은 이러한 시기에 민감한 정치적 의견을 표현하는 대안적 공간으로서, 꿈을 통한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공론화를 시도한 작품이다. 당시 정치적 상황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의견을 제시하여 공론화를 촉발하는 역할을 했다. 이를 통해 문학이 단순히 이야기를 전달하는 수단을 넘어서 사회적, 정치적 의견을 형성하고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how public discourse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literarily depicted, focusing on WonsaengMongyurok. This work allegorically represents the rehabilitation of King Danjong and the Six Martyred Ministers. In the Joseon Dynasty, public discourse played a crucial role under the Confucian political system, acting as a significant tool in checking the monarch's arbitrariness in the political process. Public discourse was a key concept in Joseon's political foundation, occupying an important position within the triangular structure of royal power, ministerial power, and Eon-gwan power. It simultaneously served as a symbol of the power of ministers to restrain royal authority and functioned as a means for internal checks, balances, and competition. Through public discourse, a variety of political views were presented, and policies were implemented through intense competition. WonsaengMongyurok goes beyond expressing resentment about historical events; it is a work that exercised the right to express opinions as a practical act of publicizing issues. The paper explores how literature established itself as a new discursive power through the workings of Joseon public discours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ublic discourse politics, the king, as the supreme authorit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acceptance of public discourse. Therefore, there was a need for alternative means to publicize issues that contradicted the king's will. WonsaengMongyurok served as an alternative space for expressing sensitive political opinions during such times, attempting to publicize issues through literary depiction in dreams. It played a role in diagnosing the problems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presenting opinions, and triggering public discourse. This confirms that literature transcended mere storytelling to play a crucial role in forming and disseminating social and political opinions.



키워드 


원생몽유록, 공론, 공론화, 공론정치, 정치적 의견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