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871411

공나형·이경화·전성규,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의 문학작품 활용 양상에 대한 문화적 문식성 관점에서의 비판적 검토: 『소나기』와 『흥부전』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204, 국어국문학회, 2023.09.

작성일
2024.03.04
수정일
2024.03.04
작성자
최옥정
조회수
27

공나형·이경화·전성규,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의 문학작품 활용 양상에 대한 문화적 문식성 관점에서의 비판적 검토: 『소나기』와 『흥부전』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204, 국어국문학회, 2023.09.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 관점에서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에 사용된 『소나기』와 『흥부전』을 대상으로 문학작품의 활용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연구이다. 두 작품은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에서 가장 고빈도로 제재화되고 있는 현대 문학과 고전 문학작품이다. 본고는 이처럼 대표성을 띠는 두 작품에 대한 교재 제시 양상을 문화적 문식성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학작품 활용 양상의 실제를 파악하는 한편 교육적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고는 미래 사회의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상호 문화적 감수성을 고취하고 비판적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강조하고, 이를 실천하는 방안 중 하나로서 문학작품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문화적 문식성 개념과 속성을 정리하고, 이에 기반하여 교재 분석 틀을 도출하였다. 그 다음, 해당 틀을 적용하여 ‘읽기 전 단계’, ‘읽기 단계’, ‘읽기 후 단계’의 차례대로 비판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읽기 전 단계’에서는 추측 활동에서 작품의 서사가 맥락이 소거되어 제시되거나, 지식 쌓기 활동에서 문어체나 현대 한국어에서 잘 사용되지 않아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낄 법한 어휘 및 표현이 제시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장르적 지식이 결여되거나 지나치게 문학사 측면에서 장르에 접근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어렵게 하고 흥미를 저하시킬 가능성 또한 존재하였다. 다음으로 ‘읽기 단계’에서는 본문에서 학습자의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은 어휘와 표현이 사용되어 현대 한국어나 좀 더 쉬운 표현으로의 주석이나 대치가 필요해 보였다. 마지막으로 ‘읽기 후 단계’에서는 제시된 활동이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어휘나 이해 지식에 대한 단편적 확인에 머물러 있었고, 비판적・확장적 사고가 개입하기 힘들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함으로써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작품 활용의 내실을 기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presentation patterns of literature in 『Sonagi』 and 『Heungbu-jeon』 used in Korean textbooks for general-purpose Korean learners from a cultural literacy perspective. These are among the most mentioned works representing modern and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n textbooks for general-purpose Korean learners. By reviewing the presentation patterns of these two representative works, this study considered that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aspect of using literary works in Korean textbooks. This paper emphasized that enhancing learners’ mutual cultural sensitivity and strengthening critical capabilit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is essential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using literary works to realize this. To this end, this paper established a framework for analyzing textbooks using the concept of cultural literacy based on previous studies. Next, crit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re-reading stage,’ ‘reading stage,’ and ‘post-reading stage’ by applying the corresponding framework. As a result, in the “pre-reading stage,” the context of the work’s narrative was erased and presented in speculative activities, or vocabulary and expressions that could be difficult at the learner level because they were not well used in written or modern Korean knowledge-building activiti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genre knowledg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be insufficient or excessively approached in terms of literary history, making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or reduce their interest. Next, in the “reading stage,” vocabulary and expressions that did not consider the learner’s difficulty were found in the text, requiring annotation or replacement with modern Korean or more accessible expressions. Finally, in the “post-reading stage,” the activity after reading remained in fragmentary confirmation of vocabulary or understanding knowledge without consider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activities that are difficult for critical and extended thinking to intervene were analyzed as problems. This study attempted to ensure the internal stability of the use of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proposing educational measures to supplement or replace these limitations.



키워드 


문화적 문식성, 문식성 교육, 문학작품 활용, 한국어 교육, 『소나기』, 『흥부전』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