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871403

장일구, 「문화 공간의 서사 공간 변환 공정 -『혼불』의 인지 공정을 단서로 한 시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7(4),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11.

작성일
2024.03.04
수정일
2024.03.04
작성자
최옥정
조회수
21

장일구, 「문화 공간의 서사 공간 변환 공정 -『혼불』의 인지 공정을 단서로 한 시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7(4),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11.



국문 초록


인간의 공간 기획 공정이 활성화되는 데에는 삶의 대소사에 대한 서사적 충동이 작용한다. 사람들은 삶의 장에서 이야깃거리를 취하여 그럴싸하게 꾸미고 활발한 의사소통에 부치고자 이야기를 잘 하려고 도모한다. 서사적 수행의 표준 공정은 문화 차원의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는 기제로서 채용될 때 최적의 인지적 유효치를 산출하는데, 문화의 장에 투사된 서사 공간의 창출의 공정에 대한 이해가 긴요하다. 서사와 문화, 문화와 공간, 공간과 서사가 서로 상관하는 해석학적 순환 회로는, 사람들이 품은 공간 기획의 여망과 이를 인지적 수행에 이어지게 하는 공정과의 친연적 함수 관계를 입증할 만한 거점에서 구동된다. 『혼불』은 이러한 공정을 여실히 보여 준다. 문화 공간의 서사 공간으로의 변환 공정에서 창발적 구조를 창출하여 인간 마음 공간의 새로운 국면을 창출하는 데서 『혼불』의 문화 가치가 최적치를 낸다.



영문 초록 


The narrative impulse of life is active in the activation of human spatial projection processing. People take good care of their lives to be good at decorating and actively communicating. The standard processing of narrative performance is a mechanism that activates communication at the cultural level, which calculates the optimal cognitive validity when it is hired. The hermeneutic circlular circuits between narrative, culture, and space are base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s desires for the spatial projections and the processings that leads to the cognitive performance of the spatial projection. Honbul shows these processings well. The cultural value of the Honbul is optimized and calculated by creating emergent structures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ing of the cultural space to the narrative space and creating new phases of the human mind space.



키워드 


문화 공간, 서사 공간, 인지 공정, 서사적 공정, 인지 도식, 개념 도식, 이미지 도식, 개념 사상, 혼불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