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871396

한정훈, 「지역 서사로서 견훤 이야기의 구성과 의미 연구」, 『구비문학연구』71, 한국구비문학회, 2023.12.

작성일
2024.03.04
수정일
2024.03.04
작성자
최옥정
조회수
22

한정훈, 「지역 서사로서 견훤 이야기의 구성과 의미 연구」, 『구비문학연구』71, 한국구비문학회, 2023.12.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견훤 이야기를 대상으로 지역별 서사의 구성 양상을 살펴보고, 지역 서사로서 의미 분기가 어떤 지향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견훤은 현재의 시점에서 오랜 시간의 간격을 품고 있는 인물이다. 그럼에도 견훤은 현재 한국 지역 사회의 정치와 사회, 문화적 인식과 쉽게 접속할 수 있는 역사적 실존 인물이다. 견훤은 후삼국 시대 현재 전라, 경상, 충청 지역에 변별되는 행적을 남겼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행적이 지역별로 의미를 달리하는 견훤 이야기를 구성·전승하게 했다. 전라 지역은 자신의 지역 출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정체성 복원과 정치적 패권을 주장한 견훤을 긍정적으로 수용했다. 비록 견훤이 패권 경쟁에서 패배하고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견훤 이야기가 탈신화 및 전설화 양상을 보였지만, 전라 지역은 견훤의 신화성을 은밀히 보존하면서 이야기를 전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서 파열된 집단의 꿈을 간직·복원하려는 의지 지향을 보이기도 했다. 경상 지역은 견훤이 비록 자기 지역 출신의 인물이었지만, 정통성을 간직한 기존의 사회 질서 체계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견훤은 반란의 주체, 반윤리적인 패륜자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나아가 이를 통해서 지역의 정체성을 보존한 인물을 선양하는 매개 수단으로 견훤 이야기가 활용되는 모습을 보였다. 충청 지역은 견훤의 역사적 비극이 실증되는 장소였다. 하지만 도전과 응전, 승리와 패배, 혁명과 좌절이라는 다양한 역사적 경험이 견훤 이야기에 개입하면서 은폐와 굴절이 발생하면서 다중적 가치로 의미가 분기되는 양상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omposition patterns of the regional narratives of Gyeonhwon stories and analyzed the orientation of the semantic branch as a regional narrative. Gyeonhwon has a long gap from its present point of view. Nevertheless, Gyeonhwon is a historically real person who could easily access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perceptions of the current Korean community. Gyeonhwon left a distinctive track record in the Jeolla, Gyeongsang, and Chungcheong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era. Additionally, these historical records have made it possible to organize and transmit stories that differ in meaning from region to region. Although Jeolla did not come from its own region, it positively accepted Gyeonhwon, which claimed to have restored the region's identity and political hegemony. Although the story of Gyeonhwon was de-mythicized and legendary after losing hegemony for a long time, the Jeolla region secretly preserved Gyeonhwon's mythological character and handed down the story. Through this, also showed willingness to preserve and restore the dreams of the ruptured group. The Gyeongsang region showed a pattern of giving greater value to the existing social order system, which retained its legitimacy, even though Gyeongsang was a person from his region. In response, Gyeonhwon had a strong tendency to perceive him as the subject of rebellion and an anti-ethical loser, through which the story of Gyeonhwon was used as a medium to enhance the person who preserved the identity of the region. The Chungcheong area was a place where the historical tragedy of Gyeonhwon was demonstrated. However, as various historical experiences of challenge and response, victory, defeat, revolution, and frustration intervened in the story, concealment and refraction occurred and meaning diverged into multiple values.



키워드 


견훤, 전설, 신화, 야래자, 이물교혼, 지역 서사, 지역성, 마한, 후백제, 왕건, 영웅, 반란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