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871393

이준환, 「『西友』와 『少年韓半島』의 언어 양상비교로 본 20세기 초의 한국어」, 『국제어문』99호, 국제어문학회, 2023.12.

작성일
2024.03.04
수정일
2024.03.04
작성자
최옥정
조회수
22

이준환, 「『西友』와 『少年韓半島』의 언어 양상비교로 본 20세기 초의 한국어」, 『국제어문』99호, 국제어문학회, 2023.12.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1906년에 창간된 잡지인 『서우』와 『소년한반도』의 문체, 문법,어휘, 문자에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20세기 초의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잡지는 기본적으로 국한문체로 쓰여 있고 교육, 국가, 위생,사학, 산업 등을 공통적으로 다루는 계몽 잡지이지만 『서우』에는 한학과 성리학에 기반을 두고 애국 계몽 활동을 한 이들이 필진에 많았으나 『소년한반도』에는일본에서 유학을 하였거나 일본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이들이 필진에 많아 차이가 있다. 두 잡지의 국한문체는 대체로 비슷한 등급의 모습을 보이며 어순이나어조사의 사용 등에서 한문의 문법이 꽤 작동하고 있다. 문법에서는 조사 ‘의게’가 오늘날의 ‘에서’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출발과 도착이 구별되어 있지않는다든지, ‘依하다’가 처격 ‘의게’와 대격 ‘을’과 도구격 ‘으로’를 모두 논항으로 취한다든지, ‘에’가 넓은 사용 범위를 보이는 것 등은 현대 국어와는 거리가 있다. 『소년한반도』에서는 “繼續購覽심을敬要”와 같이 문장이 명사로 종결되는경우가 있어 『서우』와 차이가 있는데 이것은 일본어의 영향으로 보인다. 어휘에서는 ‘告白’이 [고하여 알림]의 의미로 쓰이거나 ‘國民的’이 관형격 조사 ‘의’와 결합하여 관형어가 되어 관형사가 아닌 명사로 쓰여서 오늘날과 차이가 있다. 그리고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는 ‘推繹다’, ‘別演다’, ‘始營하다’, ‘分柝’ 등의 한자의 뜻과 한문법을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이해할 수 있는 어휘의 쓰임이 보인다. 이 외에 일본어계 어휘인 ‘事柄’가 『소년한반도』에서 보이며, 중국어계 어휘인 ‘報紙’가 『서우』에서 보여 필진의 성격에 따른 차이가 보인다. 한자의 사용에서는 이체자의 쓰임이 많이 보이는데, 이 중에는 ‘小~少’, ‘紀~記’ 등과 같이 의미에 기반한 유의 관계 또는 동의 관계의 형성과 연계하여 다양한 자형이 쓰이기도 하였다. 끝으로 반복 부호의 사용에서 ‘々’와 같은 일본어에서 유래한 부호의 사용이 『소년한반도』에서 보이는 점이 눈에 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appearance of Korean language in the early20th century by identify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writing style, grammar, vocabulary, and letters used in the magazinesSeou and Sonyeonhanbando, which were founded in 1906. Thepublications are enlightenment magazines that deal with education, thestate, sanitation, history, and industry. Both are basically written in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However, many of Seou’s writers haveengaged in patriotic enlightenment activities based on Chinese andNeo-Confucianism, whereas Sonyeonhanbando features manydifferences due to the contributions of writers who studied in or haveclose relations with Japan. The two magazines’ mixed style of Koreanand Chinese characters generally shows similar grades, and Chinesegrammar is quite correct in terms of word order and word survey. Regarding grammar, the postpositional particle "uige" performs afunction corresponding to “eseo” used in today’s Korean language, and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meaning of “departure” and“arrival”. Additionally, “依hada” takes the case studies “uige” and“eul” and the instrumental case study “euro” as arguments. Moreover,the postpositional particle “e” has a wide range of uses. These various aspects are far from those of modern language. In Sonyeonhanbando,sentences sometimes end with nouns, such as “gyesok guramhasimeulgyeongyo (繼續購覽 심을敬要)”; this does not appear in Seou,seemingly due to the Japanese influence. Regarding vocabulary,instances when “gobaek (告白)” is used to mean [notification ofconfession], or “gukminjeok (國民的)” is used as a noun modifier incombination with “ui,” show noun usage that contrasts today’s usage. Furthermore, vocabulary is used to properly harmonize and create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such as“chuyeokhada (推繹다)”, “byeolyeonhada (別演다)”, “siyeonghada(始營하다),” and “buntak (分柝),” which are not used today. Additionally, the Japanese vocabulary item “kotogara (事柄)” appears inSonyeonhanbando as “sabyeong (事柄),” and the Chinese vocabularyitem “baozhi (報紙)” is in Seou as “boji (報紙),” indicating differencesaccording to the writers’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use of Chinesecharacters, various shapes can be observed in many usages; forinstance, several shapes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formation ofmeaning-based significance or consent relationships, such as “小∼少”and “紀∼記.” Finally, regarding repeated codes, the use ofJapanese-derived codes such as “々(nomaten)” can be found inSonyeonhanbando.



키워드 


『서우』, 『소년한반도』, 문체, 문법, 어휘, 문자, 20세기 초의 한국어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